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산정기준 및 계산법 요약정리

by 케이피와이엠 2025. 3. 21.

2025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산정기준 및 계산법 요약정리

안녕하세요 케이피입니다. 국민연금 보험료를 계산할 때 가장 중요한 개념이 기준소득월액인데요. 기준소득월액은 단순히 매월 받는 월급과 같지 않으며, 매년 7월 1일부터 다음 해 6월 30일까지 국민연금 보험료를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의 산정 기준과 연봉과의 관계, 직접 계산하는 방법까지 상세히 설명드릴게요.


1. 기준소득월액이란?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이란 가입자가 신고한 소득월액을 기반으로 보험료를 산정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 금액입니다. 단순히 매달 받는 월급이 아니라 전년도 소득을 바탕으로 책정되며, 매년 5월 국세청 소득자료를 반영하여 6월에 결정 후, 7월부터 적용됩니다.


2. 2025년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변경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은 매년 변동되며, 2025년부터 최소·최대 금액이 인상됩니다.

이미지출처 <국민연금공단 공식사이트>

적용 기간 하한액 상한액
2024.7.1 ~ 2025.6.30 390,000원 6,170,000원
2025.7.1 ~ 2026.6.30 400,000원 6,370,000원

 

즉, 2025년 7월 1일부터 국민연금의 최소 기준소득월액은 40만 원, 최대 기준소득월액은 637만 원으로 조정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국민연금공단 공식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국민연금공단

현재 접속 사용자가 많아 대기중이며, 잠시만 기다리시면 자동 접속됩니다.

www.nps.or.kr

 


3. 기준소득월액 계산 방법

기준소득월액은 연간 총소득을 12개월로 나눈 값으로 결정됩니다.

 

📌공식 기준소득월액 = (전년도 총소득 ÷ 12개월)

 

예를 들어, 연봉 3,000만 원인 경우:

  • 소득총액: 30,000,000원
  • 기준소득월액: 30,000,000 ÷ 12 = 2,500,000원
  • 국민연금 보험료: 2,500,000 × 9% = 225,000원 (본인 112,500원, 회사 112,500원)

4. 연봉별 국민연금 보험료 예시

연봉 (만원) 기준소득월액 월 납부 보험료 (9%) 본인 부담액 (4.5%) 회사 부담액 (4.5%)
3,000 2,500,000 225,000 112,500 112,500
4,000 3,333,333 300,000 150,000 150,000
5,000 4,166,667 375,000 187,500 187,500

5. 마무리하며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은 매년 변경되며, 이에 따라 보험료도 조정됩니다. 이번 2025년 조정에서는 최소 40만 원, 최대 637만 원으로 변경되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자신의 기준소득월액을 정확히 알고, 예상 보험료를 미리 계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나 고객센터(1355)에서 상담받아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같이보면 좋은글:

2025.03.21 - [분류 전체보기] - 국민연금 한눈에 살펴보는 "모바일앱" 이용 가이드

 

국민연금 한눈에 살펴보는 "모바일앱" 이용 가이드

국민연금 한눈에 살펴보는 "모바일앱" 이용 가이드안녕하세요 케이피입니다. 국민연금 수급자라면 연금 수급권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정보를 갱신해야 하는데요. 이를 보다 간편하게 처리

kptips.com

2025.03.21 - [분류 전체보기] - 국민연금 수령 나이 및 조건 예상 수령액 조회방법

 

국민연금 수령 나이 및 조건 예상 수령액 조회방법

국민연금 수령 나이 및 조건 예상 수령액 조회방법안녕하세요 케이피입니다. 노후 준비를 위해 꼭 알아야 할 제도 중 하나가 바로 국민연금입니다. 하지만 수령 나이나 조건, 예상 수령액

kptips.com

2025.03.15 - [분류 전체보기] - 2025 국민연금 개혁안 완벽 총정리 - 보험료 인상 및 소득대체율 총 정리!

 

2025 국민연금 개혁안 완벽 총정리 - 보험료 인상 및 소득대체율 총 정리!

2025 국민연금 개혁안: 미래를 위한 변화의 시작2025년 3월, 국민연금 개혁안이 뜨거운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연금 재정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받는 가운데, 정부와 국민연금

kptips.com